본문 바로가기
기타, 정보 ▧

[스크랩] [게임, 또다른 마약 ⑨] 게임중독 아들에 맞고 가출한 엄마, 8일만에…

by 샬롬♡예루살렘 2012. 2. 10.


[게임, 또다른 마약 ⑨] 게임중독 아들에 맞고 가출한 엄마, 8일만에…


입력 : 2012.02.09 03:09 | 수정 : 2012.02.09 16:44

[9] 치료약은 관심과 사랑
포기해선 안 되는 부모 - "야단쳐서는 절대 못 고치고
아이의 의지만으론 어려워… 보듬어서 전문치료 받게해야"
게임중독 아이의 고백 - "정상생활이 불가능한 나, 인정하는 게 너무 싫었지만
상담사에 다 털어놓고 나니 마음 가벼워지고 진지해져"

송영숙(가명·48)씨는 2년 전 중학교 2학년인 아들을 피해 집을 나와야 했다. 180㎝가 넘는 아들 김성현(가명·17)군은 152㎝의 작은 체구인 송씨를 발로 차고 주먹으로 쳤다. "미친 X아. 네가 뭔데"라고 욕도 했고 눈은 뒤집혀 있었다. 김군은 게임에 중독돼 폐인으로 살기 시작한 후 "엄마"라는 말을 사용하지 않았다. 늘 "미친 X"이었다. 남편도 없는 집에서 이러다 큰 사고가 나겠다는 생각으로 '탈출'하면서 시퍼렇게 멍든 몸보다 마음이 더 아팠다.

주위에서 "훤칠하고 착하다"는 칭찬을 듣던 김군이 변한 것은 중2가 되던 해 아빠와 함께 차를 타고 가다 사고로 아빠를 잃은 후부터였다. 김 군은 아빠의 죽음이 자기 때문이라고 생각하고 학교도 가지 않고 친구도 만나지 않았다. 잠자는 시간만 빼곤 게임만 했다. 송씨는 생활비를 벌기 위해 밤늦게까지 일을 했고, 아들의 증상이 그렇게 심한지 몰랐다.

집을 나온 후 송씨는 아들이 두려웠지만 포기할 수 없었다. 김군이 밤새 게임을 하고 잠든 낮시간에 살그머니 집에 들어가 밥상을 차려놓고 나왔다. 8일째 되던 날 집에 들어가자 자고 있어야 할 김군이 식탁에 앉아 있었다. 당황한 송씨가 들고 있던 시장바구니를 떨어뜨리자 김군이 말했다. "같이 밥 먹어요. 엄마." 1년 반 만에 들어보는 "엄마" 소리였다. 송씨는 아들을 부둥켜안고 한참을 울었다.

김군은 엄마의 설득을 받아들여 한국청소년상담원에서 1주일에 두번씩 상담치료를 받았다. 운동도 병행했다. 김군을 상담한 배주미 팀장은 "김군은 아버지가 돌아가신 후, 그 상처를 가족을 통해 치유받지 못하고 혼자 간직해 곪아 버렸다"며 "엄마가 자신을 싫어할 것이란 생각이 강했고 그 고통을 게임을 통해 풀고 있었다"고 말했다.

 지난달 26일 서울 방화동의 한 영화관을 찾은 이지환(가명·왼쪽)군과 어머니. 아버지가 없는 어려운 가정형편 속에서 엄마에 대한 원망이 심해 게임에 빠져 살았던 지환군은 지난해 여름 여성가족부가 운영하는 ‘인터넷 레스큐(RESCUE) 스쿨’에 다녀오고, 영화 관람 등으로 엄마와 지내는 시간이 늘어나면서 게임을 끊을 수 있었다. /이명원 기자 mwlee@chosun.com
송씨는 친척들을 총동원해 지리산으로 김군과 3박 4일 가족 캠프를 갔다. 친척들은 "너는 정말 소중한 아이다" "사랑한다"라며 김군을 껴안았고, 작은 일도 칭찬했다. 김군은 3박4일 동안 한 시간도 게임을 하지 않았지만, 금단 증상이 없었다. 배 팀장은 "부모가 야단만 쳐서 게임중독을 고칠 수 없다"며 "가장 중요한 건 관심과 사랑"이라고 말했다.

게임중독은 자신의 의지만으로는 끊기 어렵다. 관심과 애정이 꼭 필요하고 전문기관의 도움을 받으면 좋다. 4년간 부모님을 속이고 '게임 좀비'로 살았던 차용원(가명·26·본지 8일자 A3면 보도)씨는 대학 4년 내내 학교에 안 가고 게임만 했다는 사실을 2010년 말 부모에게 고백했다.

 음악 치료… 지난달 31일 서울 강동구 인터넷꿈희망터에서 게임중독에 빠졌던 차용원(가명·왼쪽)씨가 상담사에게 음악치료를 받고 있다. /이명원 기자
그 후 차씨는 게임을 끊겠다는 생각으로 방송통신대에 입학하면서 동시에 공인중개사 자격증 공부도 시작했다. 처음 의지는 강했지만 혼자 힘으로 중독에서 벗어나는 게 쉬운 일이 아니었다. 공인중개사 학원을 빠지고 PC방으로 향하는 날이 점점 많아졌다.

결국 차씨는 가족과 함께 인터넷꿈희망터를 찾아 중독치료를 시작했다. 그는 "내가 정상적인 생활이 불가능한 상태라는 걸 인정하는 게 너무 싫었지만 일단 상담사에게 모든 것을 털어놓고 나니 마음이 한결 가벼워졌다"며 "사실을 인정하고 나자 치료를 받는 게 더 진지해졌다"고 말했다.

학생들은 방학 동안 운영되는 캠프를 이용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게임에 빠져 유급까지 됐던 이지환(가명·15)군은 작년 여름 여성가족부에서 운영하는 '인터넷 레스큐(RESCUE) 스쿨'에 다녀온 후 스스로 컴퓨터를 책상에서 치웠다. 이군은 가난과 엄마에 대한 원망으로 엄마와는 말도 하지 않고 게임만 했다. 그러나 캠프에 다녀온 후 엄마와 영화도 보고 야구장도 다니며 '데이트'를 했다. '인터넷 레스큐 스쿨'에서는 11박 12일 동안 학생 2명당 1명의 멘토가 24시간 아이의 옆에서 생활하는데, 아이들은 상담도 받고 컴퓨터 없이도 재미있게 지낼 수 있다는 것을 배운다. 디딤클리닉 최상철 원장은 "ADHD(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나 정신분열 등 동반되는 정신과적 문제에는 필요에 따라 약물치료도 병행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2/02/09/2012020900071.html?news_top


***********************************************************************************************************************


[게임, 또다른 마약 ②] '게임 좀비'… 괴물처럼 변해가는 아이들


입력 : 2012.02.01 03:01 | 수정 : 2012.02.01 18:32

게임과 현실 구분못해 폭행, 자살, 살인까지… 청소년 14만명 '高위험군'
칼싸움 게임 중독된 명문대 중퇴생, 갑자기 거리로 뛰쳐나와 행인 살해

김철수(가명·55·대구 수성구)씨 부부는 올해 초 며칠간 집에 들어가지 못했다. 게임 속 캐릭터인 '괴물'을 죽이겠다며 칼을 들고 집안을 돌아다니는 아들(23) 때문에 생명의 위협을 느꼈기 때문이다. 아들은 3년 전 고교를 졸업하고 대학에 입학했지만 게임에 빠져 학교에 나가지 않다가 제적됐다. 그 지경에 이르기까지 김씨 부부가 끓인 속은 말로 표현할 수 없다. 컴퓨터를 없애버리고, 24시간 감시도 해보고, 울면서 설득도 했지만 게임 이외에는 아무것도 하지 않으려는 아들을 이겨낼 방법이 없었다.


학교에서 제적되고 부모도 포기하자 아들은 낮에는 잠자고 밤에 일어나 게임하는 '게임 좀비'가 됐다. 모든 사회적 관계를 다 끊고 집에만 틀어박혀 며칠 동안 게임만 하다가 쓰러져 잠들기도 했고, 밥도 거의 먹지 않다가 한꺼번에 몰아서 먹었다. 어느날 아들 방에서 이상한 소리가 나 들어가 보니 아들은 칼과 흉기를 들고 괴물을 없앤다며 여기저기를 찌르고 있었다.

김씨 부부는 그길로 집을 나와 게임중독상담센터에 연락을 했지만 상담으로 치유할 단계를 넘어섰다는 말에 절망해야 했다. 한국컴퓨터생활연구소 어기준 소장은 "게임 중독은 서서히 진행되다가 갑자기 상태가 급격히 나빠지는 게 대부분이어서 가족도 알아채기 힘들다"며 "(부모들이) 어쩔 수 없다고 방치하는 게 문제를 더 키우는 원인"이라고 말했다.

심각한 게임 중독 증상을 앓으며 자살하거나 게임과 현실을 구별하지 못해 각종 범죄를 일으키는 '게임 좀비'들이 우리 가정과 사회를 위협하고 있다. 

2010년 11월에는 한 중학생이 게임을 못하게 꾸짖는 어머니를 살해한 후 자살했고, 그해 3월에는 게임에 빠진 젊은 부부가 갓난아기를 방치해 굶어죽게 하는 충격적인 사건이 일어났다. 지난해 3월에는 게임 때문에 부모와 갈등을 겪던 고교생이 입학식날 투신자살했고, 11월에는 게임 중독 의사가 만삭의 부인을 살해하는 사건이 온 사회에 파문을 일으켰다.

이런 잠재적인 '게임 좀비'들은 9~19세 청소년층에만 14만명이 넘을 것으로 추산된다. 한국정보화진흥원이 2010년 실시한 ‘인터넷 중독실태 조사'에 따르면 9~19세 청소년 중 인터넷에 중독된 청소년은 87만7000명(12.4%)에 달하고, 이 중 고위험군은 전체의 3.1%인 21만8000명이었다. 청소년은 인터넷 사용자의 65.2%가 게임을 하기 위해 인터넷을 사용한다고 응답, 약 14만명이 잠재적 '게임 좀비'일 수 있다는 계산이 나온다.

이들은 게임과 현실을 구별하지 못하는 특성을 갖고 있다. 2010년 12월에는 칼싸움 게임에 중독된 미국 명문대 중퇴생이 서울 잠원동에서 ‘처음 만난 사람을 무조건 죽이겠다’는 생각으로 지나가던 행인을 느닷없이 살해했다.

지난해 12월 31일에는 '서든어택' 게임에 중독된 중학생 5명이 친구 한 명을 집단 폭행하고 엉덩이에 라이터 불을 대는 등 전치 4주의 상처를 입히기도 했다.

안동현 한양대 의대 신경정신과 교수는 "1990년대 본드·가스를 마시는 학생들로 학교가 몸살을 앓았는데 요즘은 그게 게임으로 옮아갔다"며 "게임에 지나치게 몰입된 학생은 사회적·교육적 문제로만 생각할 게 아니라 심각한 질병으로 인식해 적극적인 대처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좀비(Zombie)

주술(呪術)로 살려낸 시체. 걷고 움직이지만 이미 시체이므로 총을 맞아도 죽지 않는다. 1932년 영화 '화이트좀비'를 시작으로 많은 좀비 관련 영화가 나왔다.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2/02/01/2012020100155.html?related_all





출처 : 주님을 기다리는 신부들
글쓴이 : 고다니엘 원글보기
메모 :